본문 바로가기
About material

03-2. 유리(Glass)

by poyogi 2020. 4. 27.
반응형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오늘은 유리의 제조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유리가 만들어지는 제조 과정은 4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제조과정 탱크 요 -> 판유리 인상과 연마 -> 서랭 -> 절단.포장 순입니다.

 

 

유리를 녹이는 화로

우선, 탱크 요에서 유리를 녹입니다. 이 탱크 요는 유리의 녹는점까지의 온도를 버틸 수 있고 유리에 의해서 침식이 되지 않는 벽돌을 내장재로 사용해야합니다. 하지만 무엇이든지 오래 사용하게 되면 달아버리는 법이죠. 같은 벽돌을 계속해서 사용하면 벽돌의 성분(산화 알루미늄과 산화 규소로 이루어진 벽돌)이 유리속으로 들어가게 되어버립니다. 유리 속에도 이와 같은 성분이 있기 때문에 섞이지 않도록 탱크 요를 식힌 후 벽돌을 교체해주곤 한답니다. 

 

 

 

그 다음으로, 탱크 요가 열심히 녹인 유리를 꺼낼 차례입니다. 이 유리를 꺼낼때의 주역할을 하는 것은 데비토우즈롤러라는 것이고, 이들이 판유리의 두께를 일정하게 만들어줍니다. 이때, 롤러에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무늬를 조각하면 유리판에 무늬가 새겨지게 됩니다. 그럼, 혹시 기존에 생산되지 않았던 특별한 무늬도 새길 수 있는건가요? 아마 그럴 것같아요. 언젠가는 유리에 제가 디자인한 무늬를 넣어보고 싶습니다!

 

또 유리판 안에 철망을 넣게 되면 그물판유리가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이렇게 만들어진 유리들은 100%완벽한 것도 있겠지만 아닌것도 있겠죠. 작은 요철들이 생길 수가 있는데요, 그래서 요철없이 평평한 유리가 필요한 데에는 이 요철을 잡아주기위해 연마를 해야 합니다. 

 

그 이후 서랭 작업을 해야하는데 여기서 서랭은 천천히 식음. 또는 천천히 식힘.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한 두께로 만들어진 뜨거운 유리를 서서히 판으로 냉각을 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급하다고 냉각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면 내부에까지 고르게 강화되지 않기 때문에 금이 갈 수 밖에 없고 강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쌓여있는 유리판들

그리고 나서 절단과 포장을 하는데, 이때 절단은 다이아몬드컷팅기로 절단을 합니다. 혹시 유리 가장자리 테두리 부분을 보면 매끈하게 반짝반짝 빛나는 것을 보신적있으신가요? 아마 거울이나 어느정도 두께감이 있는 유리판을 보시면 뚜렷하게 보이실 겁니다. 또한 포장을 할때에는 그냥 차곡차곡 쌓는 것이 아니라 유리판과 유리판 사이에 얇은 종이를 끼워서 쌓아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유리속의 알칼리 성분이 수증기에 의해 용해되어 서로 달라붙게 된답니다. 그뿐만이아니라, 기스를 방지하려는 목적도 있겠죠. 

 

 

디자인과를 나와서 그런지 저는 항상 화방에 가면 두꺼운 아크릴과 아크릴판이 가운데에 비닐이 있는데도 달라 붙어버리려는 걸 봤습니다. 그걸 가져와서 과실에서 모르고 비닐을 떼어버린채 두 개를 겹쳐놓았을 때도 같은 현상이 발생했었습니다... 유리랑 다른 속성일 수 도 있겠지만.. 정전기 일까요...? :)

 


 

아! 깜빡할 뻔 했네요. 

판유리가 아닌 용기제조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녹은 유리로 성형하는 모습
녹은 유리안에 공기를 주입하여 성형하는 모습

유리는 무조건 판으로만 생산되지는 않죠. 이미 우리 주변에서 흔히 사용되는 꽃병만 하더라도 유리로 만들어진 제품이 많고 또 컵도 마찬가지입니다. 유리는 고온에서 젤리처럼 말랑말랑해져서 자유롭게 모양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성형을 할 수 있습니다. 판유리 제조와는 달리 용기는 취간이라는 것이 주역이 됩니다. 바람을 넣어 완성하거나 달고나 처럼 하나의 틀안에 넣어 완성하는 것이죠. B.C 3000년경 전에도 이집트 벽화에 입으로 유리를 불어 만드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앞선 방법들은 옛부터 사용되어져 오던 방법입니다. 

 

 


 

 

유리는 너무 신비로운 재료같지 않나요? 저렇게 말랑말랑 했던 것들이 투명하고 깨끗한 것들로 탄생한다는 점이 참 흥미롭습니다. 저도 기회가 된다면 유리를 녹이는 것부터해서 유리공정과정을 체험하고 유리로 디자인 해보고 싶어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유리의 종류와 성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