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sign material

03. 유리(Glass)와 디자인

by poyogi 2020. 5. 26.
반응형

여러분, 유리잔이 아닌 플라스틱컵에 와인을 부어 마셔본 적이 있으신가요?

유리 와인잔에 먹었을 때 보다 맛이 조금 덜 하지 않으셨나요?

이런것들을 좌지우지하는 이유가 저는 기분이나 분위기라고 생각합니다.

플라스틱컵에 넣어 먹으면 왠지 텁텁한 것 같고 플라스틱맛이 나는 것 같아서

저도 모르게 얼른 설거지를 해서 와인잔으로 바꿔먹곤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투명하고 맑은 분위기를 자아내는 유리의 디자인에 대해서 소개해볼까합니다. 

 

스튜디오 크래프트콤바인 디자이너 
Clear b Bud Vase

처음으로 소개드릴 작품과 디자이너는 스튜디오 '크래프트콤바인'의 클리어 비(Clear b) 브랜드입니다. 스튜디오의 이름 ,크래프트콤바인은 '다양한 영역을 혼합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리이외에도 다양한 소재를 다루며 디자인을 이어나가고 있는 크래프트콤바인은 2017년 유리공예인센스 홀더와 2018년도에 화병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먼저, 절(temple)을 연상시키는 모던하며 리빙스러운 형태의 인센스 홀더는 안정적으로 인센스의 재를 담아주며 보는이로 하여금 고요하고 평온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합니다. 또한, 해당 Clear b incense burner는 열과 충격에 강한 붕규산 유리를 소재로 하여 제작하였다고 합니다. 꽃봉오리를 연상시키는 화병은 안정적이면서도 불안정한 느낌을 한번에 가지고 있어 그 모습 자체로도 매력적인 제품입니다. 형태의 비율이나 세부적인 디테일의 곡선들이 화병이라는 것에 잘 어우러져 이질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디자인이며, 제가 지금까지 봐온 형태로 승부보는 화병중 가장 메력적인 것 같습니다. 위의 작품들은 국내기술자분들과 협업으로 진행하여 수작업으로 디자인한 제품들입니다. 

 

 

 


 

 

 

다음으로 소개드릴 작품와 회사는 '노먼코펜하겐(Normann Copenhagen)'의 AMP Pandants입니다. 노먼코펜하겐은 가구와 소품의 영역을 다루는 덴마크의 유명 디자인 회사입니다. AMP 시리즈는 소형 조명 콜렉션이고 1960년대에 오래된 튜브형태의 증폭기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브랜드라고 합니다. 해당 LED조명은 대리석과 유리의 고전적인 소재로 이루어져 모던한 느낌으로 탄생한 AMP Pandants는 천장형식의 LED램프입니다. 고급스럽고 클래식한 분위기 또한 자아내어 공간을 럭셔리하고 모던하게 연출시켜줍니다. 골드그린, 스모크브레스, 그리고 화이트 이 세가지 컬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FIAM 의 GHOST

세번째로 보여드릴 작품은 FIAMGHOST입니다. 피엠은 유리를 주로 다루는 이탈리아의 한 디자인 회사입니다. 디자이너 CINI BOERI에 의해 탄생한 유리의자 GHOST는 아름다운 곡선의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고작 12mm 두께의 유리로 만들었기때문에 부서질까봐 앉기 꺼려지긴 하지만 유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매우 튼튼합니다. 스크레치에는 약하지만 그렇게 앉고 일어나는 충격으로 데미지를 입지는 않습니다. 사실, 이 의자를 디자인한 디자이너도 비현실적이고 이루어내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CINI BOERI의 열망은 도전정신을 일깨웠고 지금의 GHOST 의자를 만들게 되었다고 합니다. 양쪽이 대칭이어야 하는 의자를 유리로, 그것도 곡선이 풍부한 유리를 사용하여 완성되기까지에는 수많은 노력과 도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신기한 기술, 3D PRINTER를 이용한 유리공예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3D PRINTER로 집까지 지을 수 있을 만큼 기술은 어마어마하게 발전되고 있습니다. 그 중 지금으로부터(2020) 약 5년전 3D PRINTER를 이용해서 유리공예를 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2015년 MIT연구진이 유리소재를 이용하여 원하는 물체를 프린팅 할 수 있는 3D PRINTER를 개발하였고 아름답고 정교한 유리그릇들이 디자인되었습니다. 

.

.

.

.

.

.

 

곡선과 직선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매력적인 소재, 유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콘크리트와 디자인에 대해서 소개해드릴까합니다!

오늘 포스팅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사진출처_네이버포스트
             크래프트콤바인 홈페이지 

             피엠 홈페이지

             콜렉션 비 

             쓰리디프린트 홈페이지

반응형

'Design mater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패브릭(Fabric)과 디자인  (0) 2020.06.04
05. 고무(Rubber)와 디자인  (0) 2020.06.03
04. 콘크리트(Concrete)와 디자인  (0) 2020.05.27
02. 플라스틱(Plastic)과 디자인  (0) 2020.05.25
01. 코르크(Cork)와 디자인  (0) 2020.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