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ut material

08. 목재(Wood = Lumber = Timber)

by poyogi 2020. 5. 18.
반응형

지난시간에는 다소 공업적이고 차가워보이는 금속, 알루미늄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반대로 오늘은 따스한 느낌을 주는 목재(Wood)에 대해서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주위를 자세히 둘러보면 목재로 만들어진 것들이 종종 보이실겁니다. 

저는 지금 이케아에서 구매해온 옷장과 미니사다리 그리고 복층을 이어주는 손잡이가 가장 눈에 띕니다.

아! 제가 앉아서 블로그를 할 수 있게 해준 책상도 있었네요! 

이렇게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실 수 있답니다.

 

집 이외에도 전통 찻집이나 찜질방 그리고 전통마을에 가면 대부분 목재로 이루어져있곤 합니다.

또 까사미아 쇼룸처럼 가구나 소품 쇼룸이나 나무로 이루어진 깔끔하고 리빙스러운 카페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목재는 전통적인 느낌부터 리빙적인 느낌까지 모두다 구현해낼 수 있는 소재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다양한 분위기를 자랑하는 목재에 대해 알아보러 가볼까요?

 

나무줄기(=수간)을 보여주는 이미지

 

목재는 목질또는 나무질로 되어있는 재료를 모두 일컫는 말입니다. 목재는 주로 나무줄기가 있는 식물에서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목본경이라고도 하는 나무줄기는 목질로 된 줄기를 의미하고, 나무 기둥에서 가지를 만들어 잎이 자라날 수 있게 하는 두꺼운 부분입니다. 이것을 나무(수)/줄기(간) 자를 써서 수간이라고도 합니다. 목재는 다른 다양한 부분들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수간을 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침엽수의 대표나무 , 소나무
↑활엽수의 예시 은행나무

목재는 침엽수재활엽수재가 있습니다. 침엽수는 방울열매를 만드는 식물로써 잎이 뾰족합니다. 반대로 활엽수는 넓은잎나무라고도 하며 잎이 납작합니다. 침엽수와 활엽수에 포함되어있는 구성성분은 각각 조금씩 다릅니다. 주성분으로는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그리고 리그닌이 있습니다. 

 

 


 

 

나이테를 보여주는 이미지

다음으로는 목재의 역사에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겠습니다!

최초의 목재는 2011년캐나다 뉴브런즈윅 주에서 발견되었습니다. 탄소연대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이 목재는 약 395000000~400000000년전의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풀네임으로 '방사선 탄소 연대 측정법'이란 탄소의 방사성 동위원소의 조성비를 측정하여 연대를 추정하는 방식입니다. 

 

우리의 인류는 오래전부터 건축자재, 가구, 용품, 불피우기 등 수많은 목적을 위해서 목재를 사용해왔습니다. 또 무기나, 도구에도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다음은 목재의 성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로 말씀드릴 목재의 성질은 단점이 될 것 같은데요, 목재는 수분에 매우매우 약합니다. 목재가 포함한 수분의 양에따라서 종종 수축팽창이 발생하게됩니다. 내구성은 목재의 부패, 충해, 충우에 따라 좋고나쁨이 나뉘어지게 됩니다. 또한 목재를 심재변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심재는 목재를 수평으로 단면을 잘랐을 때 보이는 진한 중심부분이며 부식에 강하고 충해도 적어서 건축자재로 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던 것 처럼 수분에 약하기 때문에 외부 습기가 많은 곳에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것은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반면에 마디가 적은 변재는 마감재에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목재가 사용되는 용도를 간단하게 후루룩~ 짚고 마무리 하겠습니다.

 

 

이처럼 피아노와 같은 악기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건축자재나 내부 인테리어에 적용될 수도 있고,

 

침대와 같은 가구에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또 철도를 지나가다 한번쯤 보셨을 수 도 있는데요, 이렇게 기차레일 밑을 지지하는 침목으로 사용 될 수 있습니다. 

 

이와같은 용도 이외에도 목재는 엄청나게 많은 곳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

.

.

.

연약하지만 단단하고 따뜻함을 주는 목재는 어떻게보면 인류가 최초로 도움을 얻을 수 있었던 자연인 것 같습니다. 돌로 불을 만들고 불을 유지하기 위해서 나무를 가져와 사용했을테니 돌과 흙도 마찬가지일겁니다. 사실 저희집은 어딘가 모르게 안심이 되고 안정적인 느낌을 준다고 생각하는데 아마 목재로 된 제품이 꽤나 많아서 포근함을 느꼈나 봅니다:)

 

비교적 목재는 다른 시리즈들에 비해 짧았지만 도움이 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다음시간에도 더욱 유익한 소재로 찾아뵙겠습니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반응형

'About mater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실리콘(Silicon)  (0) 2020.05.19
07-2. 알루미늄(Aluminum)  (0) 2020.05.15
07-1. 알루미늄(Aluminum)  (0) 2020.05.15
06-5. 패브릭(Fabric)  (0) 2020.05.12
06-4. 패브릭(Fabric)  (0) 2020.05.11